본문 바로가기

코딩 테스트 준비/Python 이론8

파이썬 이론(입출력/파일 읽고쓰기) 사용자 입력과 출력 print() = 출력 for i in range(10): print(i, end =' ')#띄어쓰기 한줄로 출력 print() for i in range(10): print(i, end ="hi")#i 옆에 문자열을 추가 input() = 입력 # a의 값을 콘솔 창에서 입력받을수 있다 number = 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print(number) 파일 읽고 쓰기 파일열기모드 설명 r 일기모드-파일을 읽기만 할 때 사용 w 쓰기모드-파일에 내용을 쓸 때 사용 a 추가모드-파일의 마지막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 시킬 때 사용 #파일 만들기 / 쓰기 f =open("새파일1.txt",'w', encoding="UTF-8")#생성 utf8 = 한글이 깨지지 않게 해준다 for .. 2023. 3. 1.
파이썬 이론(함수) 함수 Python에서 함수(Function)는 재사용 가능한 코드 블록으로이며, 하나 이상의 입력값(인자)을 받아서 하나 이상의 결과값을 반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높아지며 프로그램의 구조화와 모듈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F(X) = 2X+3 파이썬 함수의 구조 def 함수명(매개변수): ..... return 리턴 값 # 함수 정의 def sum(a,b): result = a+b return result #함수 호출 print(sum(1,2)) print() #입력값이 없어도 출력값만 있을수 있다 def say(): return 'Hi' print(say()) print() # 출력(return)이 없어도 사용 가능하다 def sum(a,b): print(".. 2023. 3. 1.
파이썬 이론(반복문) 반복문 일일이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 반복할 횟수를 정해두고 동일한 코드 블록을 여러 번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반복문에는 for문, while문이 존재한다 while문의 구조 while : ... #while #열번 찍어 안넘어가는 나무 없다 treeHit = 0 # 초기화 while treeHit < 10 : # teehit를 0부터 9까지 10번 반복 treeHit = treeHit +1 #1번부터 찍기위해 +1 print("나무를 %d번 찎었습니다." % treeHit) #treehit 의 값을 %d 위치 if treeHit == 10: # treehit가 10이될때 print("나무 넘어갑니다.") # 해당 출력문 실행 #break : 반복문을 종료 coffee = 5 money = 100 whil.. 2023. 2. 25.
파이썬 이론(조건문) 조건문 (~면 ~하고 ~면 ~한다) 비교연산자 또는 boolean 자료형을 참고하여 참(true) 거짓(false)을 나누어 조건문 안의 코드를 실행한다 ex : (돈이 있으면 택시를 타고 돈이 없으면 걸어간다.) if문의 기본 구조 if 조건문: 수행 할 문장1 수행 할 문장2 .... else: 수행할 문장A 수행할 문장B ... money = True texi = "택시를 탄다" walk = "걸어간다" if money: #머니가 true이기에 texi 실행 print(texi) else: print(walk) money = False if money: #머니가 false이기에 walk 실행 print(texi) else: print(walk) ※파이썬에서 if문은 들여쓰기를 잘못하면 실행되지않는다.. 2023. 2. 25.
파이썬 이론(변수) 변수 값을 담는 상자. 변수는 메모리의 저장되어 변수가 저장된 메모리의 주소의 값을 이용해 값을 가져와 활용된다 변수를 만들때는 =(assignment) 기호를 사용한다 a=1 #1 이라는 값을 가지는 정수 자료형이 메모리에 생성됨 #변수 a는 객체가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를 가리키는 레퍼런스(Reference) #a라는 변수는 3이라는 정수형 객체를 가리키는중 b="python" c=[1,2,3] print(a,b,c) ↓해당 사이트에서 파이썬에서 변수를 생성했을때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https://pythontutor.com/visualize.html#mode=display a라는 값은 1이 담긴 주소를 가르킨다 a=[1,2,3] b=a a[1]=4 print(b) a 라는 변수는 [1,2,3]이 있는.. 2023. 2. 25.
파이썬 이론(자료 구조 형) 자료 구조형태 리스트 : 값을 순서대로 저장 / 추가 삭제 가능 튜플 : 값과 길이가 고정 딕셔너리 : key value로 구성 집합 : 중복 불가 튜플 길이와 값이 고정되어 있어, 리스트와 다르게 배열의 변경이 불가능하다 ex) a=(1,2,3) list ex) b=[1,2,3] t1=(1,2,'a','b') # t1[0] = 'c' # 튜플이기에 변경이 안된다며 오류가 뜬다 print(t1[0:2]) t2=(3,4) #튜플의 연산 print(t1+t2) print(t1*3) a = (1,2) # a에 값을 할당 a = a * 3 # 튜플의 곱 print(a) 딕셔너리(dictionary) 키(key)와 값(value) 쌍(pair)으로 이루어진 자료형이며 key를 통해 value를 얻는 목적으로 사용.. 2023. 2. 24.
파이썬 이론(인덱스) 인덱싱(indexing) 배열을 사용하여 문자열 출력이 가능하다 print(a[부터:까지:간격] ex)print(a[0:4:2] a=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print(a[0]) # a의 0번째방 print(a[3]) # a의 3번째방 print(a[-1]) # a의 뒤에서 첫번째방 print(a[0:4])#0~4번째방 print(a[0:4:2])#0~4번째방 2간격으로 생략하여 출력 두번째,네번째 방 생략 print(a[:8]) #첫번째를 비우면 처음부터(슬라이싱) print(a[8:]) #8번째부터 끝까지 문자열 자료형 ※포멧코드 코드 설명 %s 문자열(String) %c 문자 1개(Character) %d 정수(Integer) %f 부동 소수(Floatin.. 2023. 2. 24.
파이썬 이론(자료형) ※ (파이썬 이론-n 제목의 게시글은 유튜버 조코딩님의 '파이썬 코딩' 무료강의를 듣고 작성합니다)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KL1MIuBfWe0 파이썬의 특징 인간다운 언어이다 이해가 쉬워 공동 작업과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C,C++언어와 호환성이 좋다 인터프리터 언어로서 속도가 느리다 개발속도가 빠르다 파이썬 다운로드 링크 https://www.python.org/downloads/windows/ 에디터: VScode 다운로드 링크 https://code.visualstudio.com/ 변수 어떤 값을 담는 상자 ex) a = a+1;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 변수에 넣는다 파이썬의 자료형 숫자형, 문자형, 불, 변수,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숫자형 정.. 2023.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