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자 취업36

웹개발_JAVA 22 *스레드 실습 package threadTask; // 동물원에는 3마리의 동물이 있다. // 각 동물은 울음 소리가 다르고 2마라의 동물은 동시에 운다. // 나머지 1마리 동물은 2마리 동물이 모두 울고 나면 막지막에 운다 // //※ 반드시 join()을 사용한다. //※ 각 동물은 3번씩만 운다. //※ 람다식을 사용한다. public class Animal { public void makeSound(Runnable runnable) { // 울음소리 배열 String[] animalsounds = {"어~흥", "음메에에", "아우~"}; // 울음소리들을 스레드 객체로 선언 Thread[] threads = new Thread[animalsounds.length]; for (int i = 0;.. 2023. 3. 11.
웹개발_JAVA 21 프로그램 실행이 안된 상태. 프로세스 실행된 프로그램. 쓰레드 프로세스 내의 작업 처리경로 -단일 쓰레드 ex) JavaScript 서버(채팅, sns등) 처리 경로를 한 개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렬적이다. 한 번에 하나씩 처리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이다. 하지만 하나의 작업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작업은 시작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작업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정성이 보장되고 설계 시 멀티 쓰레드에 비해 쉽다. 작업1 작업2 작업3 작업순서 ----> 작업 1이 끝나야 작업 2가시작 (매표소에서 앞사람이 1000장을 사도 1장을 사야하는 사람이 기다려야하는 상황과 같다) package thread; import java.sql.Time; public class Thread1 .. 2023. 3. 6.
웹개발_DB 6 외부 조인 JOIN할 때 선행 또는 후행 중 하나의 테이블 정보를 모두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STADIUM 테이블에서 홈 팀인 팀 정보 조회, 홈 팀이 없어도 경기장은 모두 조회*/ SELECT * FROM STADIUM; SELECT * FROM TEAM; SELECT NVL(T.TEAM_ID, '공용') TEAM_ID, STADIUM_NAME FROM TEAM T RIGHT OUTER JOIN STADIUM S ON T.STADIUM_ID = S.STADIUM_ID; ※종합 실습 /*EMPLOYEES 테이블에서 JOB_ID가 SA_REP인 사원 전체 조회*/ SELECT FIRST_NAME, LAST_NAME,JOB_ID FROM EMPLOYEES WHERE JOB_ID ='SA_REP'; .. 2023. 3. 4.
웹개발_DB 5 정규화 삽입/수정/삭제의 이상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 1차 정규화 같은 성격과 내용의 컬럼이 연속적으로 나타날 경우, 하나의 컬럼에 여러 값이 연속적으로 나타날 경우 1차정규화 대상 테이블↓ 상품명(콤마로 구분) 바지1 상의2 신발3 , 상품명1 상품명2 상품명3 바지1 상의2 신발3 * 조회가 너무 힘들다 ↓ ▶ 1차 정규화 진행 상품명 바지1 상의2 신발3 2차 정규화 조합키(복합키)로 구성되었을 경우 조합키의 일부분에만 종속되는 속성이 있을 경우. 부분 함수 종속(Partial Functional Dependency). 1차정규화 대상 테이블↓ 이름 색상 꽃말 과 해바라기 노란색 행운 국화 장미 빨간색 사랑 장미 꽃말은 이름 색상을 참조하지만 과는 이름만 참조하는 때 * 이름에만 과가 종속된다.. 2023. 3. 3.
파이썬 이론(입출력/파일 읽고쓰기) 사용자 입력과 출력 print() = 출력 for i in range(10): print(i, end =' ')#띄어쓰기 한줄로 출력 print() for i in range(10): print(i, end ="hi")#i 옆에 문자열을 추가 input() = 입력 # a의 값을 콘솔 창에서 입력받을수 있다 number = 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print(number) 파일 읽고 쓰기 파일열기모드 설명 r 일기모드-파일을 읽기만 할 때 사용 w 쓰기모드-파일에 내용을 쓸 때 사용 a 추가모드-파일의 마지막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 시킬 때 사용 #파일 만들기 / 쓰기 f =open("새파일1.txt",'w', encoding="UTF-8")#생성 utf8 = 한글이 깨지지 않게 해준다 for .. 2023. 3. 1.
파이썬 이론(함수) 함수 Python에서 함수(Function)는 재사용 가능한 코드 블록으로이며, 하나 이상의 입력값(인자)을 받아서 하나 이상의 결과값을 반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높아지며 프로그램의 구조화와 모듈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F(X) = 2X+3 파이썬 함수의 구조 def 함수명(매개변수): ..... return 리턴 값 # 함수 정의 def sum(a,b): result = a+b return result #함수 호출 print(sum(1,2)) print() #입력값이 없어도 출력값만 있을수 있다 def say(): return 'Hi' print(say()) print() # 출력(return)이 없어도 사용 가능하다 def sum(a,b): print(".. 2023. 3. 1.
웹개발_DB 4 빨간 밑줄친 아이콘을 클릭하면 커밋과 롤백을 유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수정된 테이블을 원상복구하는데에 용이하다 *DB 실습 /*PLAYER 테이블에서 TEAM_ID가 'K01'인 선수 이름을 다른 이름으로 바꾸기*/ UPDATE PLAYER SET PLAYER_NAME = '송태섭' WHERE TEAM_ID ='K01'; SELECT * FROM PLAYER WHERE TEAM_ID ='K01'; /*PLAYER 테이블에서 POSITION이 MF인 선수 삭제하기*/ DELETE FROM PLAYER WHERE "POSITION" = 'MF'; SELECT * FROM PLAYER WHERE "POSITION" = 'MF'; /*PLAYER 테이블에서 HEIGHT가 180이상인 선수 삭제하기*/ DELE.. 2023. 2. 28.
웹개발_DB 3 ※동물병원 실습 강사님 풀이 /* * TBL_OWNER ---------------------------------- OWNER_ID NUMBER PK_OWNER ---------------------------------- OWNER_NAME VARCHAR2 NOT NULL OWNER_AGE NUMBER OWNER_ADDRESS VARCHAR2 NOT NULL OWNER_PHONE VARCHAR2 NOT NULL * */ CREATE TABLE TBL_OWNER( OWNER_ID NUMBER CONSTRAINT PK_OWNER PRIMARY KEY, OWNER_NAME VARCHAR2(500) NOT NULL, OWNER_AGE NUMBER, OWNER_ADDRESS VARCHAR2(500) NOT N.. 2023. 2. 27.
파이썬 이론(반복문) 반복문 일일이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 반복할 횟수를 정해두고 동일한 코드 블록을 여러 번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반복문에는 for문, while문이 존재한다 while문의 구조 while : ... #while #열번 찍어 안넘어가는 나무 없다 treeHit = 0 # 초기화 while treeHit < 10 : # teehit를 0부터 9까지 10번 반복 treeHit = treeHit +1 #1번부터 찍기위해 +1 print("나무를 %d번 찎었습니다." % treeHit) #treehit 의 값을 %d 위치 if treeHit == 10: # treehit가 10이될때 print("나무 넘어갑니다.") # 해당 출력문 실행 #break : 반복문을 종료 coffee = 5 money = 100 whil.. 2023. 2. 25.
파이썬 이론(조건문) 조건문 (~면 ~하고 ~면 ~한다) 비교연산자 또는 boolean 자료형을 참고하여 참(true) 거짓(false)을 나누어 조건문 안의 코드를 실행한다 ex : (돈이 있으면 택시를 타고 돈이 없으면 걸어간다.) if문의 기본 구조 if 조건문: 수행 할 문장1 수행 할 문장2 .... else: 수행할 문장A 수행할 문장B ... money = True texi = "택시를 탄다" walk = "걸어간다" if money: #머니가 true이기에 texi 실행 print(texi) else: print(walk) money = False if money: #머니가 false이기에 walk 실행 print(texi) else: print(walk) ※파이썬에서 if문은 들여쓰기를 잘못하면 실행되지않는다.. 2023. 2. 25.